하드 디스크 레코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드 디스크 레코더는 하드 디스크에 오디오 또는 비디오를 녹음하는 장치로, 1980년대 초 등장하여 아날로그 멀티트랙 레코더를 대체했다. 1990년대 중반 하드 디스크 가격 하락과 용량 증가로 인해 널리 사용되었으며, 비선형 편집을 가능하게 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편집 작업의 효율성을 높였다. 독립형 장치, DAW(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의 일부, 개인용 컴퓨터 기반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전문 방송 스튜디오, 영화 제작 현장, 소비자용 홈 비디오 녹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텔레비전 용어 - 페이퍼뷰
페이퍼뷰는 케이블 TV, 위성방송, IPTV 등에서 특정 콘텐츠 시청 횟수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이며, 스포츠, 영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적용되고, 1972년 케이블 TV 시스템 도입을 통해 현재와 같은 형태가 시작되었다. - 텔레비전 용어 - 방송법
방송법은 방송의 공익성 확보와 시장 경쟁 촉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각국의 법률 및 규정으로, 주파수 할당, 콘텐츠 심의, 공정성 확보, 공영방송 운영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며, 디지털 전환과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여 각국은 방송법 개정을 통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하드 디스크 레코더 | |
---|---|
하드 디스크 레코더 | |
![]() | |
개요 | |
종류 | DVD 레코더 BD 레코더 |
디지털 튜너 | 지상파 디지털 튜너 BS 디지털 튜너 CS 디지털 튜너 |
입력 단자 | 영상 단자 S 영상 단자 D 단자 HDMI 단자 |
출력 단자 | 영상 단자 S 영상 단자 D 단자 HDMI 단자 |
기록 매체 | 하드 디스크 |
역사 | |
시기 | 1990년대 후반 |
배경 | 스카이퍼펙트TV!가 MPEG-2에 의한 디지털 방송을 시작한 것 |
기술 | |
녹화 방식 | MPEG-2 |
초기 제품 녹화 모드 | 3가지 (고화질, 표준, 장시간) |
녹화 모드 다양화 | 2003년 이후 (제조사별 독자적인 녹화 모드 추가) |
대표적인 녹화 모드 예시 | XP, SP, LP, EP |
고화질 녹화 | 디지털 하이비전 방송을 고화질로 녹화 가능 |
디지털 방송 녹화 | 방송 그대로의 화질로 녹화 가능 (DR 모드) |
하이비전 압축 녹화 | 고화질을 유지하면서 장시간 녹화 가능 |
기능 | 타임 시프트 기능, 간단 편집 기능 |
디지털 방송 녹화 관련 문제점 | |
문제점 | 복사 제어 신호에 의한 녹화 제한 |
회피 방법 | 아날로그 녹화 (화질 저하) |
해결 노력 | 더빙 10 서비스 (횟수 제한적인 디지털 복사 허용) |
완전한 해결 | BD 레코더의 등장 (디지털 방송 녹화가 용이) |
기타 | |
용어 | HDD 레코더라고도 불림 |
2. 역사
1980년대 이전에는 대부분의 녹음 스튜디오에서 릴투릴 테이프 기반의 아날로그 녹음 멀티트랙 레코더를 사용했다. 최초의 상업용 하드 디스크 녹음 시스템은 1982년 뉴 잉글랜드 디지털 신클라비어 II용 디지털 녹음 옵션인 Sample-to-Disk였으나, 당시 하드 드라이브의 데이터 입출력 제한으로 스테레오 오디오는 즉시 사용할 수 없었다.[1] 이 솔루션은 비용과 용량 문제로 대형 전문 오디오 녹음 스튜디오나 영화 후반 작업 등에만 사용되었다.
1982년 컴팩트 디스크 등장 이후 디지털 녹음은 주요 개발 분야가 되었고, 19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에는 여러 저렴한 솔루션이 출시되었지만, 이들 중 다수는 릴 또는 더 관리하기 쉬운 비디오 카세트 형태의 테이프를 계속 사용했다. 1993년 iZ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은 24트랙 테이프 머신을 대체하도록 설계된 RADAR(오타리에서 배포)를 개발했다. 1990년대 중반 하드 디스크 가격 하락과 용량 및 휴대성 증가로 소규모 스튜디오에서도 하드 디스크 녹음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하드 디스크 시스템은 스튜디오 녹음의 선호되는 방법이 되었다.
2004년 1월 14일, Fairlight, 웨이브프레임, AMS 엔지니어들은 하드 디스크 녹음 기술 개발 공로로 아카데미 과학 기술상을 수상했다.[2]
2. 1. 초기 발전
1980년대 이전에는 대부분의 녹음 스튜디오에서 일반적으로 릴투릴 테이프를 기반으로 하는 아날로그 녹음 멀티트랙 레코더를 사용했다. 최초의 상업용 하드 디스크 녹음 시스템은 1982년 뉴 잉글랜드 디지털 신클라비어 II용 16비트, 50 kHz 디지털 녹음 옵션인 Sample-to-Disk였다. 당시 하드 드라이브의 데이터 입출력 제한으로 인해 스테레오 오디오는 즉시 사용할 수 없었다.[1] 이러한 솔루션은 비용이 많이 들고 용량이 제한되어 대형 전문 오디오 녹음 스튜디오에서만 사용되었으며, 영화 후반 작업과 같은 특정 응용 분야에만 사용되었다.1982년 컴팩트 디스크의 등장으로 디지털 녹음은 장비 제조업체의 주요 개발 분야가 되었다. 19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에 여러 저렴한 솔루션이 출시되었으며, 이 중 다수는 릴 또는 더 관리하기 쉬운 비디오 카세트 형태로 테이프를 계속 사용했다. 1993년 iZ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은 24트랙 테이프 머신을 대체하도록 설계된 RADAR(오타리에서 배포)를 개발했다. 1990년대 중반에 하드 디스크 가격이 꾸준히 하락하고 용량과 휴대성이 증가하면서 하드 디스크 녹음 시스템의 비용이 낮아져 소규모 스튜디오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하드 디스크 시스템은 스튜디오 녹음의 선호되는 방법이 되었다.
2004년 1월 14일, Fairlight, 웨이브프레임 및 AMS의 엔지니어들은 하드 디스크 녹음 기술 개발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아카데미 과학 기술상을 수상했다.[2]
2. 2. 1980년대 후반 ~ 1990년대
1982년 뉴 잉글랜드 디지털의 신클라비어 II를 위한 16비트, 50 kHz 디지털 녹음 옵션인 Sample-to-Disk는 최초의 상업용 하드 디스크 녹음 시스템이었다. 당시 하드 드라이브의 데이터 입출력 제한으로 인해 스테레오 오디오는 즉시 사용할 수 없었다.[1] 이러한 솔루션은 비용이 많이 들고 용량이 제한되어 대형 전문 오디오 녹음 스튜디오에서만 사용되었으며, 심지어 영화의 후반 작업과 같은 특정 응용 분야에만 사용되었다.1982년 컴팩트 디스크의 등장으로 디지털 녹음은 장비 제조업체의 주요 개발 분야가 되었다. 19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에 여러 저렴한 솔루션이 출시되었으며, 이 중 다수는 릴 또는 더 관리하기 쉬운 비디오 카세트 형태로 테이프를 계속 사용했다. 1993년 iZ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은 24트랙 테이프 머신을 대체하도록 설계된 RADAR(오타리에서 배포)를 개발했다. 1990년대 중반에 하드 디스크 가격이 꾸준히 하락하고 용량과 휴대성이 증가하면서 하드 디스크 녹음 시스템의 비용이 낮아져 소규모 스튜디오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하드 디스크 시스템은 스튜디오 녹음의 선호되는 방법이 되었다.
2004년 1월 14일, Fairlight, 웨이브프레임 및 AMS의 엔지니어들은 하드 디스크 녹음 기술 개발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아카데미 과학 기술상을 수상했다.[2]
2. 3. 2000년대 이후
1980년대 후반과 90년대 초반, 여러 저렴한 하드 디스크 레코더 솔루션이 출시되었다. 이 중 다수는 릴 또는 더 관리하기 쉬운 비디오 카세트 형태의 테이프를 계속 사용했다. 1993년 iZ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은 24트랙 테이프 머신을 대체하도록 설계된 RADAR (Random Access Digital Audio Recorder, Otari Incorporated에서 배포)를 개발했다.[1] 1990년대 중반에 하드 디스크 가격이 꾸준히 하락하고 용량과 휴대성이 증가하면서 하드 디스크 녹음 시스템의 비용이 낮아져 소규모 스튜디오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하드 디스크 시스템은 스튜디오 녹음의 선호되는 방법이 되었다.2004년 1월 14일, Fairlight, 웨이브프레임, AMS의 엔지니어들은 하드 디스크 녹음 기술 개발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아카데미 과학 기술상을 수상했다.[2]
3. 작동 방식
하드 디스크에 오디오를 녹음하는 가장 큰 장점은 비선형 편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오디오 데이터는 임의 접근이 가능하므로 비파괴 편집이 가능하다. 즉, 원본 자료는 변경되지 않는다. 그러나 모든 하드 디스크 녹음 시스템에 비선형 편집이 내재된 것은 아니다. 제조사마다 이 기능의 구현 정도는 다르다.
하드 디스크 레코더는 디지털 믹싱 콘솔과 결합되어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DAW)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결합으로 복잡한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어 오디오 엔지니어가 최종 믹스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다.
개인용 컴퓨터는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통해 하드 디스크 레코더로 사용할 수 있다. 오늘날에는 스튜디오 엔지니어에게 더 유연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 방식이 선호되기도 한다. 많은 스튜디오급 시스템은 특히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단계에서 외부 하드웨어를 제공하지만, 덜 비싼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현대 컴퓨터에 포함된 사운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모든 하드 디스크 녹음 시스템의 주요 제약 조건은 저장 용량, 전송 속도, 프로세서 속도이다. 일부 시스템은 처음 두 요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손실 오디오 압축을 사용하지만, 하드 디스크 용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이러한 방식은 점점 드물어지고 있다.
4. 제품 및 응용 분야
하드 디스크 레코더는 캠코더, 고급 테이프리스 캠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셋톱 박스 (예: TiVo) 등 소비자용 제품과 Avid Technology 영상 편집 시스템과 같은 비선형 편집 (NLE) 시스템, 전문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텔레비전 제작/영화 제작 현장에서 디지털 시네마 제작을 위한 디지털 시네마토그래피 녹화 등 전문적인 응용 분야에 널리 사용된다. 하드 디스크 레코더는 2시간 분량을 녹화할 수 있는 소규모 시스템부터 수백 시간 분량의 자료를 지원하는 대규모 멀티 포트 플레이아웃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전문 텔레비전 스튜디오에서 사용된다.
4. 1. 독립형 하드 디스크 레코더
독립형 하드 디스크 레코더는 컴퓨터 없이 오디오 또는 비디오를 녹음할 수 있는 장치이다. 대표적인 독립형 하드 디스크 레코더 제조사로는 알레시스, 아카이, 포스텍스, 코르그, 매키, 타스캄, 롤랜드 코퍼레이션, 야마하 프로 오디오, 레이더, 줌 HD8 및 HD16 등이 있다.녹음 및 저장 기술의 소형화로 인해 일반 사용자들도 홈 비디오를 DVD와 같은 저장 매체에 직접 녹화할 수 있게 되었다.[3] 이는 자기 테이프 기반 DV, 디지털8, 8mm 비디오 형식, VHS, 마이크로MV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대체하였다.
전문 텔레비전 스튜디오에서는 DDR 비디오 서버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와 VTR 카트 머신을 대체하여 텔레비전 광고 및 TV 프로그램 방송(playout)에 사용되고 있다. 전문 오디오 녹음 스튜디오에서는 DAW가 사용되며,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통해 하드 디스크 레코더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4. 2. 소비자용 및 전문가용
독립형 하드 디스크 레코더는 컴퓨터 없이 오디오 또는 비디오를 녹음할 수 있다. 알레시스, 아카이, 포스텍스, 코르그, 매키, 타스캄, 롤랜드 코퍼레이션, 야마하 프로 오디오, 레이더, 줌 HD8 및 HD16 등이 주목할 만한 독립형 하드 디스크 레코더 및 제조업체이다.소비자 비디오용 녹음 및 저장 기술이 소형화되면서 비전문 사용자도 홈 비디오를 DVD와 같은 영구 저장 매체에 직접 녹음할 수 있게 되었다.[3] DDR은 DV, 디지털8, 8mm 비디오 형식, VHS, 마이크로MV 등 자기 테이프 기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대체했다.
전문 텔레비전 스튜디오에서 DDR 비디오 서버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와 VTR 카트 머신을 대체하여 텔레비전 광고 및 TV 프로그램 방송(playout)에 사용되고 있다. DAW는 전문 오디오 녹음 스튜디오에서 사용되며,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하드 디스크 레코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소비자용으로는 캠코더부터 고급 테이프리스 캠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셋톱 박스 모델(예: TiVo)과 개인용 컴퓨터 기반 레코더가 있다. 보다 전문적인 응용 분야로는 Avid Technology 영상 편집 시스템과 같은 비선형 편집 (NLE) 시스템, 전문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텔레비전 제작/영화 제작 현장에서 디지털 시네마 제작을 위한 디지털 시네마토그래피 녹화 등이 있다. 하드 디스크 레코더는 2시간 분량을 녹화할 수 있는 소규모 시스템부터 수백 시간 분량의 자료를 지원하는 대규모 멀티 포트 플레이아웃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전문 텔레비전 스튜디오에서 사용된다.
4. 3. DAW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
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DAW)은 디지털 믹싱 콘솔과 결합되어 오디오 엔지니어가 복잡한 작업을 자동화하여 실시간으로 최종 믹스를 수행할 필요가 없도록 해줍니다.개인용 컴퓨터에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면 하드 디스크 레코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스튜디오 엔지니어에게 더 유연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이 방식이 선호됩니다. 많은 스튜디오급 시스템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단계에서 외부 하드웨어를 제공하지만, 덜 비싼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현대 컴퓨터에 포함된 사운드 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DAW는 전문 오디오 녹음 스튜디오에서 사용되며,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통해 하드 디스크 레코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3]
5. 한국에서의 발전과 현황
주어진 원본 소스에 한국에서의 하드 디스크 레코더 발전과 현황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으므로, 이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다.
5. 1. 방송 및 영상 제작
방송 및 영상 제작 분야에서 하드 디스크 레코더는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소비자용으로는 캠코더부터 고급 테이프리스 캠코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셋톱 박스 모델(예: TiVo), 개인용 컴퓨터 기반 레코더가 있다. 전문적인 응용 분야로는 Avid Technology 영상 편집 시스템과 같은 비선형 편집 (NLE) 시스템, 전문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텔레비전 제작/영화 제작 현장의 디지털 시네마 제작용 디지털 시네마토그래피 녹화 등이 있다. 텔레비전 스튜디오에서는 2시간 분량을 녹화할 수 있는 소규모 시스템부터 수백 시간 분량의 자료를 지원하는 대규모 멀티 포트 플레이아웃 시스템까지 하드 디스크 레코더가 사용된다.참조
[1]
citation
Synclavier early history
http://www.500sound.[...]
2017-07-30
[2]
웹사이트
The 76th Scientific & Technical Awards 2003, 2004
https://www.oscars.o[...]
The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3]
웹사이트
JVC Everio series hard disc handi-cams
http://www.jvc.co.uk[...]
JV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